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다루기/선형대수학

[선형대수학] 12. Permutation (치환)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Permutation (치환)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할게요.

Permutation은 1부터 n까지 수의 순서를 정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쉬워요.

예를 들어볼까요?

(1,2,3,4) 를 (2,1,3,4)의 순서를 가진다고 설정해봅시다.

그러면 이 때, (1,2,3,4)의 Permutation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이처럼 우선, Permutation의 정의는 별로 어려울 게 하나도 없습니다.

(1,2,...,n)에 대한 Permutation의 Notation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으로, Inversion을 정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nversion은 말 그대로, Permutation의 성분중에서, 앞의 값이 뒤의 값보다 더 큰 경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Permutation이 (1,2,3,4)일 때, Inversion은 0개입니다.

반면에, Permutation이 (3,1,2,4)일 때, Inversion은 (3,1), (3,2) 총 2개입니다.

한 가지 예를 더 들어보면, (2,1,3,4)일 때, Inversion은 (2,1) 1개입니다.

이제 Permutation에 대해서 Inversion의 개수가 홀수개라면, odd로 반면에 짝수개라면, even으로 정의하도록 하겠습니다.

저희는 홀수, 짝수를 기준으로 Permutation의 부호를 정하는 새로운 함수를 정의하겠습니다.

정의는 아주 간단합니다.

Permutation이 짝수이면 1의 값을, 홀수이면 -1의 값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지금까지 여러가지 개념을 정의해보았습니다.

지금까지의 정의는 지금 배울 정리 때문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전에 배웠던 Determinant를 계산하려면, Elementary Matrix를 계속 곱해주어야했기 때문에, 굉장히 번거로운 작업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배울 정리를 사용하면, 손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때, S_n 은 모든 Permutation의 경우의 수의 집합입니다. (1,...,n)에 대해서는 n!개의 경우의 수가 있겠네요.

위의 식을 한눈에 보기 위해서 3x3 행렬 A에 대해서 전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처럼 3x3 행렬의 determinant를 간단한 계산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